뉴스

2025년 천안함 피격사건 15주기,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이유

지식이 채널 2025. 3. 26. 22:26
반응형

📌 2025년 천안함 피격사건 15주기,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이유

2010년 3월 26일 밤 9시 22분.
서해 백령도 인근에서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인 **천안함(PCC-772)**이 두 동강 나며 침몰했습니다. 이 사건은 해군 장병 46명의 목숨을 앗아갔고, 아직까지 시신을 찾지 못한 실종자도 남아 있습니다.

2025년은 천안함 피격사건 15주기입니다. 시간이 흘렀지만, 이 사건이 남긴 교훈은 여전히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던져줍니다.


🎯 천안함 사건 개요, 무엇이 일어났는가?

천안함은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역에서 경계작전 중이던 중 갑작스러운 외부 충격을 받았습니다.
결과적으로 선체가 절단되며 급속 침몰했고,
104명의 승조원 중 46명이 전사하는 대형 참사로 이어졌습니다.

군과 정부는 긴급 대응에 나섰지만, 당시 파도와 조류 등의 여건으로 인해 구조작업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특히 구조 중 순직한 한주호 준위의 희생도 많은 이들의 가슴을 울렸죠.


🔍 사건 원인: 북한의 어뢰 공격일까?

합동 조사 결과는 명확했습니다.
북한의 소형 잠수정에서 발사된 어뢰가 천안함을 공격한 것으로 결론지었습니다.
현장에서 발견된 어뢰 추진체와 ‘1번’이라는 한글 표기가 이를 뒷받침했죠.

그러나 일부에서는 과학적 논쟁과 정치적 의문을 제기하며 여전히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천안함 사건은 단순한 군사적 충돌이 아닌, 사회적 갈등과 인식의 균열까지 초래한 사건이기도 합니다.


🌊 왜 2025년 지금, 천안함을 기억해야 할까?

  • 46명의 용사들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 목숨을 바친 군인들입니다.
  •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군사도발이라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됩니다.
  • 지금의 평화는 수많은 희생 위에 존재하며, 그것을 기억하는 것이 바로 국민의 역할입니다.

우리는 사건을 되새기며, 안보의식과 국가적 책임에 대해 생각해봐야 할 때입니다.


🕊️ 우리가 할 수 있는 추모와 실천

  • 국립현충원에 헌화하거나 묵념하기
  • 천안함 재단 후원 참여하기
  • SNS로 추모글 공유하기
  • 자녀나 주변 사람들에게 사건을 올바르게 알리기

거창한 행동이 아니더라도, 기억하는 것 자체가 추모이며 실천입니다.


🧭 마무리하며

천안함 피격사건은 단순히 과거의 사건이 아닙니다.
지금의 대한민국이 어떻게 평화를 유지할 수 있었는가를 되묻는 거울이자,
안보의식과 공동체적 책임을 일깨우는 교훈입니다.

2025년 3월 26일,
우리는 천안함을 기억합니다. 그리고 잊지 않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