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대선 토론 이준석 vs 이재명 질문과 답변 완벽 정리! 똑똑한 질문 vs 감정적 대응?

지식이 채널 2025. 5. 19. 12:10
반응형

🎯 대선 토론 이준석 vs 이재명 질문과 답변 완벽 정리! 똑똑한 질문 vs 감정적 대응?


📌 이준석의 날카로운 질문, 이재명의 두루뭉술 답변

2025년 5월 18일, 대망의 제21대 대선후보 TV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가장 큰 관심을 모은 건 바로 이 조합이었죠.
이준석 vs 이재명.

  • 한 명은 날카롭고 논리적인 질문 마스터
  • 한 명은 질문조차 안 하고, 받은 질문엔 감정 섞인 반응만…

이 토론, 누가 이겼냐고요?
사실상 이준석의 독무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01

🤖 AI 공약? 그냥 “하면 된다”는 이재명

이준석 질문 요약

"전 국민 AI 공약, 돈은 누가 냅니까? 연 12조 정도 드는데요?"

이재명 답변 요약

"우리가 직접 만들면 돼요. 민간과 협력해서!"

...이준석: "12조 예산 어떻게 조달하죠?"
...이재명: "그건… 하면 됩니다…!"

👉 이쯤 되면 “세금이 무한인가요?” 라는 말이 나올 정도.
정책 검증의 기본인 구체적 예산 계획과 실행 전략은 없었고,
“우리는 할 수 있다” 정신력 전략만 있었습니다.


🏨 호텔경제론 = 경제 우화? 무한동력?

이준석 질문 요약

"호텔경제론, 케인즈 이론인가요, 그냥 이야기인가요?"

이재명 답변 요약

"설명 쉽게 하려고 예시든 거예요. 돈은 돌고 돌아야 하잖아요."

이준석은 경제적 승수 효과의 근거를 물었지만,
이재명은 **“단순한 비유였을 뿐”**이라는 식으로 회피.

게다가, 이준석이 "무한동력 이론 같네요?" 하자
이재명은 “왜 그렇게 극단적이세요?”라고 반격했지만…

🙃 극단적이라는 건 근거 부족하다는 반응 아닐까요?


👶 정년 연장 = 청년 일자리 위협? 이재명은 “청년도 좋아해요”

이준석 질문 요약

"정년 연장 시 청년 일자리 줄어드는 거 걱정 안 되나요?"

이재명 답변 요약

"청년도 찬성하는 사람 많아요."

이준석은 구체적 수치를 바탕으로 우려를 제기했고,
이재명은 “그렇지 않다”는 주관적 평가만 반복했습니다.

이준석: “객관적 자료 있나요?”
이재명: “왜 그렇게 단정적으로 보세요.”

➡️ 결론: 이준석은 데이터 기반으로 물었고,
이재명은 느낌적인 느낌으로 답했습니다.


🤔 이준석만 질문하고, 이재명은 질문 ‘제로’

정말 흥미로운 사실 하나.
이재명 후보는 토론 내내 단 한 번도 질문하지 않았습니다.

이준석만 계속 질문하고,
이재명은 방어하고,
또 이준석이 다시 공격하고…

결국 이준석은 “질문 + 해설 + 반론 + 피드백” 1인 4역을 수행.
이재명은 감정노동만 했다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 토론 분석 총평: 누가 토론의 왕이었는가?

✔️ 이준석: 정책 중심의 질문, 수치 기반, 현실 검증
✔️ 이재명: 포괄적 추상언어 + 감정적 방어
✔️ 질문한 횟수: 이준석 多, 이재명 0
✔️ 공세 수위: 이준석 날카롭고 차분함, 이재명 방어적이고 반복적

🎯 결국, 정책 토론의 주도권은 이준석이 독점했습니다.
“이 사람, 진짜 준비돼 있구나”란 말이 나올 정도.


🔚 유권자의 눈으로 본다면?

이번 토론회, TV를 틀고 10분만 봐도 누가 준비돼 있는지 딱 보였습니다.
토론이란 말싸움이 아니라, 정책 검증의 무대인데
이준석은 숫자와 논리로 설득했고,
이재명은 감정과 말돌리기로 방어한 셈이죠.

다음 토론회에서는… 이재명도 꼭 질문해보는 건 어떨까요? 😉


 

반응형